반응형
밈 맵 (Mip Map) 은 텍스쳐의 LOD같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원본 텍스처의 크기를 줄여가면서 여러 해상도의 레벨을 만든 다음, 고해상도 텍스쳐를 저해상도 텍스쳐로 다운스케일링하는 프로세스이다.
주로 실시간 렌더링에서 사용되며, 물체가 화면에서 멀어질수록 텍스처의 세부 사항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이를 사용하여 오브젝트가 카메라에서 멀어질수록 적절한 텍스쳐의 해상도를 적용함으로써 렌더링 시간을 절약하고 아티팩트 발생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언리얼 엔진에서는 밈 맵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소스 텍스처의 크기를 기반으로 필요한 만큼의 밉을 생성 하는데, 2의 제곱이 아닌 값은 밈맵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텍스쳐 크기는 반드시 2의 제곱을 사용한다.
(128, 512, 2048, 4096 등)
아래 이미지에서 왼쪽 머티리얼은 밈맵이 적용이 안되었고, 오른쪽은 밈맵을 적용한 머티리얼이다.
밈 맵을 사용하여 해상도를 줄이면 원거리의 에일리언싱(Aliasing)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반응형
'3D, 컴퓨터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그래픽] IOR (Index of Refraction) 수치 알아보기 (0) | 2025.01.25 |
---|---|
[IT] 내 컴퓨터 아이피 IP 주소 확인하는 방법 (0) | 2025.01.24 |
[MAYA] 지정 폴더에 자동으로 FBX로 익스포트하는 스크립트 (0) | 2025.01.23 |
[MAYA] 카메라 프로젝션, 프로젝션한 텍스쳐 이미지 익스포트하기 (1) | 2024.12.02 |
[MAYA] Wire Tool 활용해서 곡면 만들기.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