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엔진에서 무거운 프로젝트를 작업하다보면
'gpu에 충돌 문제가 발생했거나 d3d 디바이스가 제거되었습니다'라는 문구의 알림이 켜지면서 언리얼 엔진이 실행되지 않을 때가 있다.
여러 방법을 써봤지만 제일 효과있었던 방법이 TDR 레지스트리 키를 변경하는 것이였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 레지스트리키를 변경하면 예상치 못한 결과로 Windows를 다시 설치해야 할 수 도 있으니 만약을 대비해 미리 시스템을 백업해둬야한다.
1. 검색창에 '실행'을 입력해 열어준다.
2.실행창에서 regedit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열린다.
3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GraphicsDrivers로 이동한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GraphicsDrivers
4 오른쪽 패널 빈공간을 우클릭하고 새로만들기>Dword (32-bit)를 선택해서 TdrDelay 레지스트리 키를 추가해준다.
(이미 TdrDelay 레지스트리 키가 있으면 더블클릭 후 5번처럼 변경해주면 된다.)
5. 레지스트리 키를 추가하면 새 값 #1이 새로 생기는데 더블클릭해서 값을 편집해준다. 단위는 10진수로 변경해주고 값 데이터에 60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6. 새 값 #1 레지스트리 키를 우클릭하고 이름바꾸기를 눌러서 "TdrDelay"로 이름을 수정해준다.
7. 레지스트리 키를 하나 더 생성해준다. 이름을 TdrDdiDelay로 변경하고 단위는 10진수 값 데이터는 60으로 설정해준다.
8.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컴퓨터를 재부팅한다.
'언리얼 엔진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 엔진] UE5 액터 팔레트 (Actor Palette) 사용하기 (0) | 2025.02.19 |
---|---|
[언리얼 엔진] 바람에 휘날리는 깃발 만들기 (0) | 2024.11.30 |
[언리얼 엔진] 나나이트 노드 버퍼 오버플로 문제 해결 방법 (0) | 2024.10.11 |
[언리얼 엔진] 용량이슈 해결하기 (DDC, Vault Cache) (1) | 2024.04.03 |